내 컴퓨터가 Windows 10인지 11인지 쉽게 확인하는 방법.


✅ 내 PC의 윈도우 버전 확인 방법

방법 1: 단축키로 확인하기

  1. 윈도우 키 + R 누르기 → 실행 창이 떠요.
  2. 거기다 winver 입력하고 Enter!
  3. 팝업 창이 뜨면서 이렇게 보여요:또는
  4. scss
    복사편집
    Windows 10 Version 22H2 (OS Build 19045.4170)
  5. scss
    복사편집
    Windows 11 Version 23H2 (OS Build 22631.3447)

방법 2: 설정에서 확인하기

  1. 시작 버튼 클릭 > 설정(톱니바퀴 아이콘)
  2. 시스템 > 정보
  3. 아래로 내리면 Windows 사양 항목이 있어요.
    • 버전, 에디션, OS 빌드 등 자세히 나옵니다.

💡 Windows 11인지 아닌지만 빠르게 알고 싶다면:

  • 작업 표시줄이나 시작 버튼 모양이 가운데로 정렬돼 있으면 거의 Windows 11이에요.
  • 왼쪽으로 정렬돼 있고, ‘시작 메뉴’가 클래식한 느낌이면 Windows 10일 확률이 높아요!

 

✅1. Markup= 마크업 언어

"구조를 표시한다"는 뜻의 언어
HTML, XML, SVG 등이 대표적인 예예요.

항목내용
✔️ 목적 웹 문서 구조 정의 (무엇이 제목이고, 문단이고, 이미지인지 등)
✔️ 복잡도 상대적으로 복잡함 (태그 기반)
✔️ 예시  
html
복사편집
<h1>제목입니다</h1> <p>이건 단락입니다.</p> <a href="link.com">링크</a>

| ✔️ 사용처 | 웹사이트, 앱, 뉴스 페이지 구성 등 |


✅ 2. Markdown = 간단한 마크업 문법

"일반 사람들이 쉽게 쓸 수 있도록 만든 마크업의 간편 버전"
README, 블로그, 노션, GitHub 등에서 많이 써요.

항목내용
✔️ 목적 간단한 문서 형식 표현 (제목, 굵은 글씨, 목록 등)
✔️ 복잡도 매우 쉬움 (문법이 직관적)
✔️ 예시  
 
 
markdown
 
복사편집
 
# 제목입니다 이건 **굵은 글씨**입니다. [링크](http://link.com)

 

| ✔️ 사용처 | 블로그, 노션, 티스토리, GitHub 등에서 텍스트 정리할 때 |


✨ 정리 한 줄 요약

항목설명
Markup 프로그래머용, 웹 구조를 정의하는 복잡한 언어
Markdown 누구나 쉽게 쓰는 간단한 글 꾸밈 문법 (블로그/노션용)

 

 

 

[참고] 🧶 1. 마크다운(Markdown)의 유래

 

Markdown은 *“쉽고 읽기 좋은 텍스트로 문서를 작성하자”*는 철학에서 시작됐어요.

  • 2004년, 미국의 **존 그루버(John Gruber)**라는 기술 블로거가 만들었어요.
  • 목표는:
    • 사람이 쉽게 읽고 쓸 수 있고,
    • 컴퓨터가 쉽게 HTML로 바꿀 수 있는 경량 마크업 언어(lightweight markup language)

→ 복잡한 HTML 태그 없이도 문서 구조를 표현할 수 있는 텍스트 포맷이에요!


📝 2. 마크다운이 자주 쓰이는 곳

  • GitHub (코드 문서화)
  • Google Colab (설명 문구 작성)
  • Notion, Obsidian, 에버노트 (메모 & 정리)
  • 블로그/Tistory, 브런치 등 콘텐츠 작성
  • ChatGPT에서도 사용 가능해요! 😄

📚 3. 기본 문법 요약

기능마크다운 문법예시결과
제목 #, ##, ### ## 한국어교육개론 한국어교육개론
굵게 **굵게** 또는 __굵게__ **강조** 강조
기울임 *기울임* 또는 _기울임_ *예시* 예시
목록 (순서X) - 또는 * - 항목 1 • 항목 1
목록 (순서O) 1. 2. 1. 첫째 1. 첫째
링크 [이름](주소) [Google](https://google.com) Google
이미지 ![설명](주소) ![로고](logo.png) 이미지 보임
인용 > 인용문 > 이건 인용입니다 > 이건 인용입니다
코드 `코드` print("hello") print("hello")
코드블럭 ```파이썬 … ``` 코드 여러 줄 작성 가능 코드 박스 생성
수평선 --- 또는 *** --- ――――

💡 4. 코랩에서 마크다운을 쓸 수 있는 곳은?

  • + 코드 옆에 있는 ‘+ 텍스트’ 박스에 쓰시면 돼요!
  • 예: 수업 중 설명, 코드 해설, 논리 정리할 때 유용

🌟 보너스 팁: 마크다운 스타일 미리 보기

쿠나샘이 작성하신 마크다운을 자동으로 HTML처럼 예쁘게 보여주는 툴도 있어요!


 

파비콘(Favicon)은 웹사이트를 대표하는 작은 아이콘으로, 주로 브라우저 탭, 주소창, 북마크 바, 방문 기록 등에서 표시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할 때 파비콘을 설정하면 블로그의 개성을 표현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파비콘의 주요 특징

  • 역할: 브라우저에서 사이트를 식별할 수 있는 시각적 요소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구글은 'G', 네이버는 'N' 아이콘을 사용합니다.
  • 파일 형식: 일반적으로 ICO 형식을 사용하며, 크기는 16x16 픽셀이 기본이지만 티스토리에서는 32x32 또는 64x64 픽셀도 지원합니다.
  • 브랜딩 효과: 파비콘은 블로그의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고 방문자에게 전문성을 전달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티스토리에서 파비콘 설정 방법

  1. 이미지 준비:
    • 원하는 이미지를 PNG 또는 JPG 형식으로 준비합니다.
    • 이미지 크기는 32x32 또는 64x64 픽셀로 설정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2. ICO 파일로 변환:
    • 준비한 이미지를 ICO 형식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 무료 변환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favicon-generator.org] 같은 사이트가 유용합니다.
  3. 티스토리 블로그에 적용:
    • 티스토리 관리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좌측 메뉴에서 [관리] > [블로그] > [파비콘] 항목을 선택합니다.
    • 변환한 ICO 파일을 업로드하고 저장합니다.

  • 파비콘은 블로그의 첫인상을 좌우할 수 있으므로 심플하면서도 블로그의 주제를 잘 나타내는 디자인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저작권 문제가 없는 이미지 사용을 권장하며, 무료 아이콘 사이트(예: Flaticon)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파비콘 설정은 간단하지만 블로그의 전문성과 독창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티스토리, 나만 시작하기 어려운가?

티스토리 회원가입은 카카오 계정으로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고 들었는데, 힘들었어요. 


✅ 1. 티스토리 홈페이지 접속


✅ 2. 카카오 계정으로 로그인 또는 회원가입

  • 이미 카카오 계정이 있다면:
    • 로그인 후, 자동으로 티스토리 회원가입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hotmail은 안 됩니다! 그런데 이걸 알려 주지 않고 거부만 해서 등록에 쩔쩔맸어요.
  • 카카오 계정이 없다면:
    • 카카오 계정 만들기 페이지에서 새 계정을 생성하세요.
    • 가입 시, 이메일 인증 및 기본 정보 입력이 필요합니다.

✅ 3. 티스토리 블로그 개설

  • 카카오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티스토리 블로그 개설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블로그 이름, 블로그 주소, 닉네임을 입력하세요.
    • 블로그 주소는 추후 변경이 불가능하니 신중하게 결정하세요.
    • 블로그 이름이 자동(예, Iamme1004)으로 생성되는 걸 모르고 그냥 신청했다가 바꿔야 했어요.
  • 원하는 **스킨(디자인)**을 선택하세요. (나중에 변경 가능)

✅ 4. 블로그 시작하기

  • 모든 정보를 입력하고 스킨을 선택한 후, '블로그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블로그 개설이 완료됩니다.

+ Recent posts